요즘 블로그를 운영하며 글을 쓰다보니 한글 맞춤법에 대한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게 되었습니다. 학창 시절 학교에서 맞춤법을 배웠지만 내가 쓴 글이 100프로 맞춤법에 맞는 것인지를 확신하기는 쉽지 않은것이 사실입니다.
블로그 운영 뿐 아니라 요즘은 업무, SNS 등을 위해 글을 써야하는 일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, 맞춤법에 맞지 않는 글은 독자에게 신뢰감을 떨어뜨리기 때문이겠죠. 미국의 유명 일간지에서 성공을 막는 습관 중 1위를 차지한 것이 '잘못된 맞춤법'이었다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글을 쓸 때 틀리기 쉬운 맞춤법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▲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'네이버 맞춤법 검사기'를 이용하면 내가 쓴 글에 대한 맞춤법을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. 왼쪽 창에 검사할 글을 타이핑 하거나 복사해서 붙여넣은 다음 '검사'버튼을 누르면 오른쪽 창에서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등이 잘못된 곳을 색상으로 표시해주기 때문에 빠르게 맞춤법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.
▲ 또 다른 방법은 한국어 맞춤법 문법 검사기(http://speller.cs.pusan.ac.kr)라는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사이트를 방문하여 입력창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붙여 넣은 후 '검사하기' 버튼을 눌러 맞춤법을 검사해 볼 수 있습니다.
▲ 한국어 맞춤법 문법 검사기를 이용해 맞춤법을 검사해 보면 오른쪽 창에 맞춤법이 잘못된 곳을 자세하게 안내해 줍니다. 단순히 맞춤법 오류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오류에 대한 이유도 알 수 있습니다. 또한 아래의 '관련학습 가이드'를 클릭하면 '국어 평생교육 사이트'로 연결되어 맞춤법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.
▲ 상단의 '온라인 검사기 사용법'을 클릭하면 온라인 검사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.
요즘은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글을 쓰는 경우가 많아서인지 짤막하게 끊어지거나 은어 등을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. 이모티콘이나 유행어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그것은 인쇄 매체와는 다른 온라인 만의 분위기와 장점으로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, 너무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글의 이해도와 신뢰감을 떨어뜨릴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.
어떤 것이든 잘하려면 많은 연습 과정이 필요하듯 글도 잘 쓰기 위해서는 많이 써보아야 늘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글을 쓰다보면 나도 모르게 맞춤법이 틀리게 작성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지만 맞춤법 검사기를 이용해 교정을 하면서 작성해 본다면 나중엔 맞춤법 검사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맞춤법이 거의 틀리지 않게 글을 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며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[아래 SNS 공유 버튼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, 카스 등에 내용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]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캘린더를 크롬 툴바에서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 (1) | 2014.02.14 |
---|---|
네이버웍스 도메인 없이 이용하는 법 (0) | 2014.01.08 |
바탕화면 광고 아이콘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liveiconlauncher 삭제 방법 (2) | 2014.01.07 |
페이스북 앱 삭제 및 앱 초대 차단 방법 (0) | 2014.01.03 |
[광고 삭제] ads by webexp enhanced 삭제 방법 (0) | 2013.12.23 |